Linux의 tar 명령어는 사실 파일의 용량을 줄여주는 압축이 아니고 여러 파일을 하나로 묶어주는 명령어이다.
파일의 용량을 줄일 목적으로 사용할 때는 -z 옵션을 추가로 줘야한다. (뒤에서 다룸)
다음 명령어를 복사해서 테스트 디렉토리를 만들자.
mkdir test_directory
cd test_directory
touch a.txt b.txt c.txt
mkdir test1
mkdir test2
cd ..
tar 명령어로 파일 하나로 묶기
tar -cvf [파일명.tar] [압축대상(파일,폴더)]
위에서 만든 테스트 디렉토리를 tar 명령어로 압축해보자.
tar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.tar 파일 해제하기
그 전에 다음 명령어로 기존에 만들었던 test_directory 디렉토리를 삭제하자. (.tar 파일을 해제해서 다시 만들 것임)
rm -rf test_directory
.tar 파일을 해제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.
tar -xvf [파일명.tar]
위에서 test_directory 디렉토리를 삭제했기 때문에 ls 명령어를 사용했을 때 디렉토리가 없다고 나온다.
tar 명령어로 파일을 해제하고 다시 ls 명령어를 사용해보면 기존의 파일들이 다시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tar 명령어로 파일 압축 및 해제
파일 용량을 줄일 압축을 하려면 위에서 소개한 tar 명령어의 옵션에 -z 옵션을 추가하면 된다.
다음 명령어를 복사해서 테스트 디렉토리를 만들자.
mkdir test_directory
cd test_directory
touch a.txt b.txt c.txt
mkdir test1
mkdir test2
cd ..
파일 압축을 다음 명령어로 할 수 있다.
tar -zcvf [파일명.tar.gz] [압축대상(파일,폴더)]
(압축할 파일명 마지막에 .gz를 붙이든 안붙이든 압축은 동일하게 되는 것 같은데 해제할 때 구분하기 위해 .gz를 붙이는 것인지 이유는 잘 모르겠다...)
파일의 크기를 비교해보기 위해 -z 옵션을 준 것과 주지 않은 것 둘 다 해봤다.
-z를 하지 않은 파일은 4096바이트, 한 것은 191바이트로 파일 크기가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이번에는 .tar.gz 파일을 해제해보자.
그 전에 다음 명령어로 기존에 만들었던 test_directory 디렉토리를 삭제하자. (.tar 파일을 해제해서 다시 만들 것임)
rm -rf test_directory
해제는 다음 명령어로 할 수 있다.
tar -zxvf [파일명.tar.gz]
tar 명령어로 압축을 해제하고 ls 명령어를 사용해보면 기존의 파일들이 다시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'Linux > Ubuntu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, Ubuntu] 나의 .vimrc 설정 (0) | 2024.04.25 |
---|---|
[Linux, Ubuntu] ssh를 이용한 파일 전송 scp 명령어 (2) | 2024.02.20 |
Ubuntu에서 zsh 설치 (0) | 2024.02.02 |
Ubuntu에서 설치한 패키지 삭제하기 (0) | 2024.02.02 |
Ubuntu hostname 변경하기 (0) | 2024.02.02 |